
수입개방과 논란
국립통계청 (INDEC)이 인플레이션 데이터를 발표한 9월 11일 (수) 이후, 경제부의 빠블로 라빈 국장이 이끄는 팀은 회의를 열었다.
그들의 목표인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는 “자유경쟁”을 통해 가격을 낮출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즉 수입품과 경쟁을 통해 가격을 낮추는 것이다.
정부는 월 인플레이션 4%를 돌파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6월 4.6%, 7월 4%로 약간 둔화되었던 인플레이션이 8월 4.2%를 기록해, 하락세가 반전되자, 올해 마지막 분기에는 인플레이션 하락이라는 목표를 위해 경제 주요 부문의 규제완화를 결정했다.
의류 및 신발 부문은 최근 몇달동안 한가지 사례가 되었다. 이 부문에서 8월 2.1%가 올라, 타 부문보다 낮았고, 지난 12개월 상승률은 166%로, 연간 인플레이션 236.7%에 비해 70%나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는 전자 및 가전제품도 비슷하다.
지난달 2.3%를 기록한 기타 상품 및 서비스, 8월에는 평균보다 높았지만 올해 현재까지 71.9% 상승한 홈장비 및 유지 관리비도 연간 상승률이 94.8%에 그쳤다.
산업통상청은 목요일 (9월 12일) 지불 간소화 및 País 세금 인하 등, 일반적인 수입 조건 개선 외에도 자전거와 자전거 듀브, 커버에 대한 기술 규정을 폐지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자전거의 마케팅 촉진과 가격인하를 목표로 한다.
정부의 공식 데이터에 따르면, 아르헨티나에서 수입 및 무역 규제로 인해, 1인당 GDP가 아르헨티나와 비슷한 9개국을 비교할 때, 제품 가격이 두번째로 비싼 국가로 나타났다.
산악자전거의 경우 아르헨티나는 549,000 페소, 프랑스는 261,485 페소, 미국은 244,333 페소였다.
또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의 37개 국가 중 아르헨티나는 1인당 자전거 수입 대수가 가장 적은 네번째 국가였다.
아르헨티나에서 최근 몇년간의 수입 자전거 비중은 국내 소비의 10% 정도였다.
산업통산청장은 제품의 품질과 안전성에 대해서는 소비자보호법에 따라 판매회사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규제 완화는 극단적인 통제로 비용이 증가한, 자전거 듀브와 타이어에도 영향을 줄것이다.
국내 중소기업은 생산 측면에서 위험 경고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는 대형 체인점들의 대량 수입으로 발생할 경쟁을 두려워하면서, 경기침체로 인한 가격하락도 우려하고있다.
한 섬유 기업가는, 가격이 13개월 동안 계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아르헨티나 산업연맹 (UIA)의 중소기업 대표이자 신발산업협회 (CIC) 회장인 셀라로는, 경기침체로 매출이 30% 감소했다고 밝히면서, 여름 시즌에 대한 주문을 받고있지만 접수된 주문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무역개방이 경쟁을 통해 소비자에게 좋은 조건을 만들어내는 점은 동감했지만, 외국의 상품이 유입되기 시작하지만, País 세금 인하가 아직은 생산비용에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Pro Tejer 재단의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침체로 의류 및 신발 가격은 인플레이션 보다 훨씬 낮은 상승률을 보이고있다.
매출은 작년보다 35% 감소해, 생산활동 유지에도 영향을 미치고있다.
섬유회사 사장인 갈피오네는, 현재 기업들이 생산비용 인상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지 못해 마이너스 수익성을 나타내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는 기술 부문에서도 유사해, 재고가 늘어남과 동시에 2023년 상반기 6개월과 비교해 매출이 50%나 떨어졌다.
국내 생활용품 생산업체의 관계자는,수요가 없기 때문에 공급 과잉으로 가격이 하락하고 있으며 금융기관과 제휴해 여러가지 할인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며, 현재는 누구도 정가를 지불하지 않는다, 면서 한숨을 쉬었다.
오토바이, 자전거, 차량산업협회장 띠가니는 안전 규제 완화에 대한 정부의 결정을 거부하면서, 소비자의 교통안전 문제가 무역의 걸림돌이라는 정부 인식을 반박했다.
그는 또 수입이 제품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현재 판매가 2023년 보다 30% 하락해,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협회장은 정부기관의 규제 문제에 변화가 예상되지만, 완전한 폐지는 25개 자전거회사와 두배의 자전거 부품회사에 영향을 끼쳐, 아르헨티나 자전거 생산을 20년 뒤로 후퇴시키는 정책이라고 비난했다.
따가니에 따르면, 모든 선진국에도 안전 규정이 있다면서 독일은 500개가 넘고, 영국도 300개가 넘는다고 강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