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경제
- 채권 투자
화요일과 수요일은 월 가운데 날짜로, 오는 24일 월요일이나 25일 화요일에 만기되는 Wise Capital Saving 채권에 10일간 투자하는 것이 좋다.
이를 나중에 T+0 채권으로 변환하면 1% 수익을 더 얻을수 있다.
이런 수익률 이득은 이번주 월요일부터 라는 점이 중요하다.
1% 수익 증가를 위한 두가지 중요한 문제가 있다.
(1) 전자수표로 인출할 경우, 홈뱅킹에서 30분 이내에 거래업체에 보증과 함께 지불 금액이 표시된다.
(2) 전액이 아닌 일부 금액의 환급을 요청할 경우, 같은날 17~18시에 페소가 은행에 입금된다.
이 10일짜리 단기 투자는, 이번주 4일 동안에 할수있는 최고 투자이다.
Saving +0.99%
보통예금 +0.44%
정기예금 +0.39%
수익률이다. - 교환 범위
Adcap Wise Capital 헤지펀드는 계속해서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다.
지난 7일 동안 정부환율은 0.4% 상승한 반면, 이 펀드는 2.4% 올랐다.
까뿌또 경제장관은 지난주와 이번주에 반복해서 기본법이 승인되면 País 세금을 17.5%에서 7.5%로 내리겠다고 공언했다.
따라서 이 펀드에서 미불로 받을수 있는 부분에 투자할 것을 권한다.
경제장관이 공언한대로 País 세율이 낮아질 것인지는 모르지만, 만약에 세금이 낮아지면 정부환율은 992.2 페소가 될것이다.
왜냐하면 수입업자가 이미 비용에 대한 세금을 납부하고 있기 때문에 세율 인하로 달러 표시 가격이 하락하지만, 그렇다고 판매가격은 늦춰질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블렌드 환율은 1,247 페소가 되어 수입에 적용되며, 중앙은행은 외환보유액을 늘릴수 있게된다. - 투자자들의 관점
예상했던 대로 투자자들은 의회 바깥에서 일어난 격렬한 데모보다는, 의회 내부에서 결정한 일에 따라 움직였다.
수정을 거친 기본법의 승인으로 Adcap Wise MultiStrategy 펀드가 이번주 현재까지 (목요일) 5.8% 상승했다.
그리고 천천히 경제 개선이 이뤄질 것이다.
또한 외환보유액이 늘어나면 MultiStrategy 채권은 더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MEP 환율은 최소 43%, 최대 160%가 상승할 것이다.
지난 12개월 동안 MultiStrategy는 302% 상승한 반면, MEP 환율은 161% 올랐다.
이 펀드는 최소 4개월 이상의 투자에서 권장된다. - 인플레이션과 투자
5월 인플레이션 4.2%는 놀라웠다.
본 연구소는 시장에서 가장 낙관적인 4.7%로 예상한 바 있다.
Growth 펀드는 인플레이션을 이길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었지만, 변동성 때문에 이를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그렇다면 오늘 단기투자로 할수있는 것은 무엇인가 ?
금리가 현재 수준으로 유지되면, 매월 4%의 수익을 얻을수 있는 T+0 채권이 좋다고 생각된다. - IMF 총재와 회담 그리고 지불
밀레이 대통령은 G7 회담을 위한 이탈리아 방문 중에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와 만날 예정이다.
IMF 이사회는 아르헨티나와의 8차 협정 검토를 승인한지 한달 만에 8억 달러의 새 차관을 제공했다.
IMF는 아르헨티나에 대해 “발전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재정 조정을 개선하고, 통화와 환율 정책도 개선해야 하며, 성장과 정식고용 그리고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한 개혁도 진행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한편 까뿌또 경제장관은 IMF와 새로운 협상을 하기위한 노력을 하고있다고 밝혔다.
또 밀레이 대통령은 브라질의 룰라 대통령과도 회담을 가질 예정인데, 아르헨티나 주요 무역국가인 브라질과의 첫 정상회담은 매우 중요하다.
Ámbito Financiero는 IMF 차관과 관련해, IMF가 환율 자유화를 조건으로 삼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 5월 인플레이션 4.2%
5월 인플레이션은 4월 8.8% 대비 큰 하락세를 보이며 4.2%를 기록했다.
이는 2022년 초, 27개월 전 이후 최저치이다.
이로써 올해 소비자물가지수 (IPC)는 71.9%가 되었다.
이러한 인플레이션 하락은 공공요금 인상 연기와 의료보험 인상 취소로 설명된다.
긍정적인 점은 핵심 IPC가 3.7%로 확실히 둔화된 것이다.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 ?
6월에는 규제됐던 제품들의 인상이 예상되며, 환율 규제도 폐지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환율 격차가 커지는 것과, 실질 이자율과 차이를 보장하는 재정 수지에 따라 인플레이션이 결정될 것이다.
이를 감안하면, 인플레이션이 정상화 되기까지는 많은 시일이 필요해 2025년 초가 되어야 할것이다. - 새로운 규정
중앙은행은 어제 주식 거래에서 규정 중 한 조항을 수정했다고 발표했다.
이 조항은 시장 대리인은 은행 계좌를 거치지 않고 자본금과 이자 회수를 받은 외화를 증권에 재투자 할수있다.
7월 1일부터 외화 채권에 대한 자본금 및 이자 배당에 이 규정이 더이상 적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MEP, CCL 달러 구매에는 계속 적용된다.
경제부와 중앙은행은 이러한 조치가 인플레이션 감소 및 중앙은행 대차대조표 강화 과정에 과도한 위험을 주지않는 한 환율 통제와 유연성을 확대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조치는 경제 변화를 고려하여 아르헨티나 당국이 직접 시행하지만, IMF와의 협정에 반영된 대로 같이 모니터링할 것이다.
밀레이 대통령은 이미 환율 규제 철폐를 위해서는, 중앙은행과 풋 옵션의 보상 채권을 청산하여 달러에 대한 압력요인을 줄여야 한다고 발표했었다. - 달러 환율 하락
상원에서 기본법과 재정 패키지의 승인으로 환율은 하락했다.
시중환율은 3주 만에 가장 큰 하락폭을 보여, 매수 1,215 페소, 매도 1,245 페소를 기록했다.
그동안 시장의 불확실성 요인이었던, 상원의 기본법 승인과 중국과의 스와프 합의 이후 평온해졌다.
MEP 환율은 3% 하락한 1,241.10 페소, CCL 환율은 2.1% 하락한 1,274.21 페소로 마감했다. - 시장 반응
상원에서 기본법과 재정 패키지가 승인된 후 시장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월스트리트에 상장된 아르헨티나 주식은 최대 10% 폭등했고, 아르헨티나 달러 국채는 최대 4%가 올랐다.
Merval 지수는 평균 2.4% 상승했고, 일부 종목은 7.7%까지 올랐다.
이에따라 국가위험도는 63bp 하락하여 1421bp를 기록했다.
한편 중앙은행은 어제 1억 3700만 달러를 사들여, 새정부 출범 이후 총 174억 6600만 달러를 구매했다.
En relación al desembolso del FMI, señalamos en una nota publicada en Ámbito Financiero: “sería de esperar que para un refresh de fondos el FMI ponga como condición la resolución del cepo cambiario”.
Inflación en 4,2%, ¿encontró un piso? Tal como se esperaba la inflación de mayo marcó una retracción respecto de abril (8,8%), y finalizó en 4,2%, ubicándose así en mínimos desde inicios de 2022 (27 meses). En lo que va del año el IPC acumula un alza de 71,9%. La caída de la inflación a estos niveles se explica por la postergación de aumentos de tarifas y la reversión de subas de las prepagas. Lo positivo a rescatar es la clara desaceleración del IPC núcleo, que fue del 3,7%. ¿Cómo seguimos ahora? En junio se reactivaron las subas en los componentes regulados y van a estar cortando el sendero descendente, más aún cuando se decida salir de los controles cambiarios. Y dependiendo del grado de aceleración de la brecha cambiaria previa, la tasa de interés (asumimos real) y la sostenibilidad del equilibrio fiscal que garantice la nula emisión para financiar el déficit en el mediano plazo. Sumado a esto, le queda un largo recorrido a los regulados lo que va a estar generando en la inflación un piso hasta principios del 2025.
Nueva flexibilización. El BCRA anunció ayer la modificación de una de las tantas regulaciones que conforman el cepo. En concreto, los agentes del mercado podrán reinvertir las divisas percibidas por cobros de capital e intereses de títulos de deuda sin pasar previamente por su cuenta bancaria. A partir del 1° de julio, la norma no regirá más para los cobros de capital e intereses de bonos en moneda extranjera. La restricción sigue vigente para las compras de MEP y CCL. El Ministerio de Economía y el Banco Central comunicaron: “El BCRA contempla avanzar en la liberación de controles cambiarios y en una mayor flexibilidad cambiaria siempre y cuando estas medidas no impliquen riesgos excesivos para el proceso de reducción de la inflación y fortalecimiento de su hoja de balance, tal como se refleja en el Acuerdo. El proceso lo definirán las propias autoridades de Argentina contemplando la evolución de las variables económicas relevantes, quienes compartirán con el FMI los parámetros que serán monitoreados, sin incluir compromisos de fechas o medidas específicas”. El presidente Milei ya había adelantado que para liberar definitivamente el cepo cambiario es necesario despejar el stock de pasivos remunerados del Central y el de los puts y así reducir posibles fuentes de presión sobre el dólar.
Dólar, cedió tras la Ley de Bases. Luego del triunfo del Gobierno en el Senado con la aprobación en general de la Ley de Bases y paquete fiscal, la cotización del dólar paralelo
registró la mayor caída en tres semanas y se ubicó en $1.215 para la compra y a $1.245 para la venta. La incertidumbre del mercado, que siempre se refleja en la cotización del dólar informal, dejó paso a cierta tranquilidad tras el resultado en el Senado de la Nación y al acuerdo por el swap con China. El dólar MEP cayó 3% y finalizó en $1.241,10 (brecha con el oficial en 37,6%), mientras que el CCL retrocedió 2,1% y alcanzó los $1.274,21 (spread en 41,3%).
Reacción del mercado. Tras la aprobación en general de la Ley de Bases y el paquete fiscal, el mercado reaccionó positivamente. Así, los papeles de empresas argentinas que cotizan en Wall Street registraron subas de hasta 10% mientras que los bonos soberanos en dólares lo hicieron hasta 4%. Las acciones en el mercado local treparon un 2,4% en promedio, con alzas de hasta 7,7%. En este contexto, el riesgo país retrocedió 63 puntos básicos y finalizó en 1.421.
Recuperó el ritmo de compras. El BCRA logró recuperar el ritmo de compra de divisas diarias que le permitió alcanzar los USD17.466 millones desde el salto devaluatorio de diciembre. Así, en la jornada de ayer concretó compras por USD137 millones.